😤 "왜 나만 참아야 돼?"
관계 속 갈등이 터질 때 이런 마음이 듭니다:
-
“왜 항상 내 말은 무시당하지?”
-
“쟤는 왜 저렇게 자기중심적이지?”
-
“내가 잘못했나...? 아닌데 왜 이렇게 억울하지?”
사람들은 종종 서로 다른 것을 원하면서,
자기 욕망만큼 상대의 욕망은 잘 못 봐요.
그래서 부딪히고, 참다가 터지고, 상처를 남깁니다.
들뢰즈와 가타리는 이런 갈등의 근원을
‘욕망하는 기계’라는 놀라운 개념으로 설명합니다.
🧠 욕망은 결핍이 아니라 ‘기계’다?
우리는 욕망을 이렇게 생각합니다:
“갖고 싶은 게 있으니까 욕망한다”
→ 즉, 결핍이 욕망을 만든다고요.
하지만 들뢰즈와 가타리는 이렇게 말합니다:
❗“욕망은 없는 걸 갈망하는 게 아니라,
계속 뭔가를 만들어내고 연결하려는 힘이다.”
즉, 욕망은 기계처럼 작동하면서,
끊임없이 자신을 생산하고, 연결하고, 움직입니다.
🔧 욕망하는 기계란?
-
아기의 입은 엄마의 젖과 연결되어 ‘먹는 기계’가 되고
-
입은 또 말과 연결되어 ‘말하는 기계’가 되고
-
나의 관심은 타인의 인정과 연결되어 ‘사랑받고 싶은 기계’가 됩니다
욕망은 이렇게 내 욕망 → 타인과의 연결 → 또 다른 욕망
이라는 흐름을 멈추지 않고 돌게 만들어요.
💣 그런데, 왜 욕망은 항상 충돌할까?
그 이유는 다음과 같아요:
1. 우리는 서로 다른 욕망의 기계다
-
나는 "혼자 있고 싶어" → 상대는 "왜 말 안 해?"
-
나는 "이건 내 방식이야" → 상대는 "그건 무례해"
-
나는 "안전하고 싶어" → 상대는 "모험이 필요해"
👉 같은 상황에서도 각자의 욕망이 다르게 작동합니다.
2. 사회는 욕망을 통제하려 든다
-
“착한 사람은 이렇게 말해야 해”
-
“자식이라면 부모 말에 복종해야지”
-
“연애는 이렇게 해야 정상이야”
👉 사회는 욕망을 틀 안에 가두려고 해요.
내 욕망이 사회의 코드와 부딪히면
나는 "이상한 사람" 혹은 "미친 사람"이 되죠.
3. 나는 내 욕망조차 잘 모를 때가 많다
-
“내가 왜 이렇게 불안하지?”
-
“왜 자꾸 저 사람 말에 예민하지?”
-
“왜 얘가 잘 되는 걸 보니까 기분이 나쁘지?”
👉 무의식 속 욕망은 의식적으로는 감춰지고,
기묘하게 비틀어져서 행동과 말로 나옵니다.
💥 결국, 욕망은 ‘오해’를 낳고, 오해는 ‘충돌’을 만든다
욕망은 흐릅니다.
그 흐름이 막히면 불안, 짜증, 불신, 좌절이 생깁니다.
그리고 그렇게 억눌린 욕망은 결국…
-
공격으로 터지고
-
외면으로 바뀌고
-
관계를 깨뜨립니다.
🌱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욕망 충돌을 넘을 수 있을까?
✅ 1. “이 사람은 지금 뭘 원하는 걸까?”
-
감정보다, 욕망의 방향을 보세요.
✅ 2. 내 욕망을 정직하게 느껴보자
-
"지금 나는 인정받고 싶다",
"지금 나는 거절당하기 무섭다"
→ 인정하는 순간, 덜 흔들립니다.
✅ 3. 누구의 욕망도 틀리지 않다
-
"쟤는 왜 저래?" → ❌
-
"아, 쟤도 자기만의 기계가 돌아가고 있구나" → ✅
🧬 들뢰즈와 가타리가 말한 삶의 방향
-
욕망은 막을 게 아니라,
-
조율하고 연결하고 흐르게 해야 합니다.
-
서로의 욕망이 다르다는 걸 인정할 때,
진짜 이해가 시작됩니다.
🎯 마무리하며
우리의 말, 행동, 감정 뒤에는
알고 보면 끊임없이 움직이는 욕망이 있습니다.
그 욕망이 충돌만 일으키는 게 아니라,
때로는 새로운 가능성과 창조성의 원천이 될 수도 있어요.
“나는 어떤 욕망의 기계로 작동하고 있을까?”
이 질문을 시작으로,
우리는 자기 자신과 타인을
더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.